전체 글61 1번 타자, 단순히 선두가 아니다 야구를 조금씩 보기 시작한 분들이라면 "1번 타자는 빠른 타자야" , "1번 타자는 홈런도 잘 못 치던데 못하는 선수가 하는 건가?" , "보통 체구가 작고 약해 보이는 타자들이 1번 타자로 나오던데. 체구가 작은 사람이 1번 타자를 하는 건가?" , "무슨 1번 타자는 타격을 안 하고 공만 지켜보고 있는 거지?" , "1번 타자들은 나가기만 하면 도루하려고 투수를 괴롭히던데. 좀 매너가 없는 것 같아.."정도로만 알고 계실 수도 있습니다. 물론 틀린 말은 아니지만, 1번 타자에게 요구되는 덕목은 그 이상입니다. 타순의 시작점이라는 건 단순히 타석에 먼저 나간다는 걸 넘어서, 팀의 공격 흐름을 짜는 핵심 역할을 맡는다는 뜻이죠. 야구에서 공격은 한 번에 3명이 아웃되면 끝나는 구조이기 때문에, 첫 시작이.. 2025. 6. 2. 야구 타순의 짜임, 어떻게 결정될까? 야구를 막 입문한 분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왜 그 타자가 1번이지?”, “4번은 항상 제일 잘 치는 타자가 하는 거 아냐?” 같은 타순에 대한 의문일 겁니다. 사실 저도 처음 야구를 보기 시작했을 때는 단순히 잘 치는 타자를 앞쪽에 배치하면 되는 거 아니냐고 생각했었어요. 그런데 알고 보면 타순은 단순히 실력만으로 짜는 게 아니라 여러 전술적인 요소와 팀 구성, 선수의 성향 등을 고려한 결과물입니다.야구에서 타순은 경기 흐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축구의 포메이션처럼, 타순을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 득점 확률이 달라지고, 투수에게 주는 압박감도 달라지거든요. 오늘은 야구 타순이 어떤 원리로 짜이고, 왜 그렇게 중요한지를 쉽게 설명해 볼게요. 1번 타자부터 9번까지, 각 포지션.. 2025. 6. 2. 이 팀은 왜 잘 나가다가 무너졌을까? 분위기의 마법 야구를 보다 보면 한창 잘 나가던 팀이 갑자기 연패를 거듭하거나,꼴찌 팀이 갑자기 연승 가도를 달리는 장면을 볼 수 있어요.이럴 때 해설자들이 가장 자주 하는 말이 있습니다.“요즘 팀 분위기가 완전히 달라졌어요.”“아, 이 팀은 지금 분위기 좋네요. 활력이 느껴집니다.”그런데 말입니다. ‘분위기’라는 게 도대체 뭘까요?홈런이 많아서? 투수가 잘 던져서? 관중이 많아서?야구에서 분위기란 보이지 않지만 분명히 존재하고,경기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소입니다.실제로 현장에 있는 선수들, 코치들, 기자들, 팬들 모두분위기의 흐름을 민감하게 느끼고 그에 따라 반응합니다.특히 야구처럼 경기 템포가 느리고, 팀플레이보다는개개인의 심리적 상태가 중요한 스포츠일수록‘분위기’는 전술보다 더 큰 힘을 발휘할 때가 있습.. 2025. 6. 2. 비만 오면 왜 야구는 이렇게 쉽게 취소될까? 야구는 다른 스포츠에 비해 유난히 날씨에 예민합니다.특히 비가 조금만 와도 경기가 취소되거나 연기되는 경우가 많죠.처음 야구에 입문한 분들이라면 이런 장면이 당황스러울 수 있습니다.“어? 축구는 비 와도 그냥 하던데…?”“야구는 왜 이 정도 비에 못 하는 거지?”“무조건 비 오면 취소야? 기준이 있긴 한 거야?”맞습니다. KBO 리그에서도 우천취소에는 분명한 기준이 존재합니다.하지만 이 기준이 딱 ‘몇 mm 이상이면 무조건 취소’처럼 수치로 정해진 게 아니고, 상황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더욱 헷갈릴 수 있어요.오늘은 그런 KBO의 우천취소 기준이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는지,심판과 구단, 그리고 팬들이 어떻게 받아들이는지에 대해진짜 야구를 좋아하는 사람이 설명하듯 풀어드리겠습니다. KBO 우천취소의 기.. 2025. 6. 2. 자동 고의사구, 그게 뭔데? 야구를 보다 보면 투수가 타자에게 일부러 스트라이크를 던지지 않고, 포수가 미트만 내밀고도 그냥 1루로 걸어 보내는 장면이 나옵니다.그럴 때 해설자가 “자동 고의사구네요”라고 말하곤 하죠. 그런데 야구를 막 입문한 분들은 이렇게 생각할 수 있어요.“아니 공도 안 던졌는데 왜 타자가 그냥 1루로 걸어가?”“그게 야구 규칙에 맞는 거야?”맞습니다. 요즘 프로야구에서는 실제로 공을 던지지 않아도 감독이 고의사구를 요청하면 그냥 1루로 보내는 게 가능해졌습니다.이게 바로 ‘자동 고의사구’입니다.이 제도는 2017년 메이저리그(MLB)에서 처음 도입되었고, 이후 KBO리그도 이를 받아들여 사용하고 있어요.오늘 이 글에서는 이 ‘자동 고의사구’가 왜 생겼는지, 실제 경기에서 어떻게 쓰이는지, 그리고 이 제도가 가진.. 2025. 6. 1. 타자들이 초구를 지켜만 보는 이유는 뭘까? 야구를 처음 접하는 분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왜 타자들은 초구를 그냥 지켜보기만 할까?" 하는 부분입니다.TV로 경기를 보면 종종 투수가 스트라이크존 한가운데로 공을 던졌는데도, 타자가 아무런 반응 없이 가만히 있다가 스트라이크를 헌납(?)하는 장면이 자주 나오죠.‘치면 될 걸 왜 안 치지?’'투수들은 초구를 스트라이크 던질 확률이 더 높다고 하던데 왜 안치고 쳐다만 보는 거야?''감독이나 코치가 치치 말라고 한 건가??''작전 때문인 걸까?' '자신이 별로 없나?' '투구 수를 늘리려고 그러는 건가?'라는 생각이 드는 것도 당연합니다.하지만 여기에는 타자 입장에서의 철저한 전략과 계산, 그리고 심리전이 숨어 있습니다.오늘은 타자들이 왜 초구를 쉽게 휘두르지 않는지, 그리고 그 선택이.. 2025. 6. 1. 이전 1 2 3 4 5 6 ··· 11 다음